결혼 기피 이유 1위는 자금부족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 A(28)씨에게 결혼은 요원하다. 언젠가 가정을 꾸리길 바라지만 안정적인 직장과 충분한 저축, 집을 마련한 뒤에야 비로소 가정을 꾸릴 수 있다는 그는 "전혀 물려줄 게 많지 않기 때문에 지금 당장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아이를 키우는 데도 천문학적인 돈이 들기 때문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청년(19~34세) 3명 중 1명 미만이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청년(19~34세)의 절반 이상이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던 2012년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10명 중 3명 이상이 '돈 부족'을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결혼 해도 아이는 필요없다
젊은 성인의 절반 이상이 결혼을 해도 아이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답해 결혼이 출산의 선행지표라는 인식을 훼손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청년층의 결혼에 긍정적인 비율은 36.4%로 10년 전인 2012년(56.5%)보다 20.1%포인트 낮아 전체 인구의 결혼에 긍정적인 비율(50.0%)보다 13.6%포인트 낮습니다.
결혼에 긍정적인 젊은 성인의 비율은 여성 28.0%, 남성 43.8%로 10년 전보다 각각 18.9%, 22.3%포인트 낮아졌고, 연령별로는 19~24세 34.0%, 25~29세 36.1%, 30~34세 39.2%로 결혼의 황금기로 꼽히는 30대 초반에도 결혼에 찬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대다수를 차지했습니다.
결혼 이외에도 아이는 가질 수 있다
청년들이 결혼을 망설이는 이유로는 경제적 요인이 가장 많았고, 청년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결혼할 돈이 부족하다는 이유(33.7%)가 가장 많았고, 결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17.3%), 출산·육아 부담, 고용 불안(10.2%) 등이 뒤를 이었고, 여성(40.9%)보다 결혼자금이 부족하다는 이유(26.4%)가 더 많았습니다.
결혼률이 높아지면 출산율이 높아진다는 옛말도 신화가 되고 있는데요, 지난해 청년의 절반 이상(53.5%)이 결혼하면 아이를 낳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고, 성별로는 여성(65.0%)이 남성(43.3%)보다 아이를 낳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결혼 이외에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젊은 층의 비율이 높아졌고, 2012년 29.8%에서 지난해 39.6%로 젊은 층의 비중 29.8%에서 지난해 39.6%로 증가했습니다.
2021년 기준 청년층은 여성 고용의 가장 큰 장벽으로 육아 부담(46.3%)을 꼽았고, 사회적 편견(18.5%)과 불평등한 근로조건(13.8%)이 뒤를 이었습니다.
자녀 유무와 상관없이 여성이 계속 취업하기를 원하는 청년 비율은 74.0%로 10년 전(53.2%)보다 20.8%포인트나 높습니다.
댓글